만 연령 도입 시기의 계산법이 바뀐 이유는 무엇일까 복잡해진다

한국에는 평소에 쓰는 나이와 가끔 쓰는 나이가 있어요.보통 자신의 나이를 기준으로 생일이 지났는지 아닌지와 지나가기 전에 따라 1살씩 차이가 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봤을 때 생년월일보다는 태어난 연도에 따라 친구가 되거나 어른이나 동생 대우를 받기도 합니다.

그러나 국내에서도 이전처럼 나이 많다고 해서 완전히 어른처럼 될 수는 없고 친구처럼 지내는 자연스러운 분위기로 바뀌고 있는 것 같습니다.

주말에 나와서 일을 하고 있다고 직원들이 만 연령이 도입되자 2세 젊어져서 앞자리가 변한다는 얘기를 하고 있었으므로, 나도 전에 들은 것은 있었지만 2023년도에는 실제로 도입하는 것으로 알고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봤습니다.

만 나이 도입 시기결론부터 보면 2023년 6월 28일을 기준으로 도입된다고 합니다.

앞으로 한 달 정도 지나면 다들 나이가 달라지는 거죠.좀 더 쉽게 살펴보면 태어난 해에 1살이 아니라 0살부터 시작하는 것입니다.

돌이 되면 1살이 되고 인생의 3년차가 되면 그대로 3살이 됩니다.

아이의 나이는 이렇게 어렵지 않게 계산할 수 있지만, 그동안 수십 년을 큰 변동 없이 살아온 저 같은 어른들에게는 약간 혼돈이 올지도 모릅니다.

만 연령 계산법현재 나이는 기존대로 사용하게 됩니다.

만약 1988년생이라면 올해는 36세이고, 6월 28일을 기준으로 만 연령이 도입되면 이때 생일인 분은 한 살을 뺀 35세가 되고, 생일이 아직 지나지 않았다면 두 살을 뺀 34세가 된다는 것입니다.

무엇이 달라질까?사실 20대를 지나 30대가 된 분들, 혹은 40~50대 초반까지는 매우 큰 변화가 없고 단지 한살 젊어지는 어떤 의미 기분만 바뀝니다.

유치원을 졸업하고 초등 학교에 입학해야 할 아이를 키우는 분들은 조금 혼란하고 있을지도 모르지만 초등 학교의 경우는 나이 6세가 되는 다음해에 입학해야 한다는 교육 법이 존재하지만 기존과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8세가 됐을 때도 마찬가지로 입학시키면 됩니다.

남성의 경우는 병역에 관해서 지금과 마찬가지로 입대할지, 장성한 1월 하루에서 술집 출입이 가능한지, 노년이 된 분들의 연금 혜택 등이 어떻게 될지는 법령이 시행된 이듬해에 되기 전에 정확히 나오는 자료를 보고다시 한번 확인하고 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해가 바뀐 연말이 아니라 6월에 변경이 되기 때문에, 그래도 혼란이 적지 않을까 합니다.

만 연령 도입의 이유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출생연도와 나이를 놓고 혼란스럽거나 몇 살 차이가 나는데 친구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지금 젊은 층만 봐도 이렇지만 나이 많은 어른들의 경우는 5살씩 달라도 같은 초등학교 학년으로 입학해서 친구가 되는 경우도 많았죠.저희 부모님 세대만 봐도 그 당시에는 생활이 어려워서 겨우 학교를 보냈는데 초등학교 졸업할 나이가 됐을 때 1학년이 된 친구들도 있었대요.어떤 분들은 만 연령을 세고 또 어떤 분들은 나이를 세면서 세는 나이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이런 문제들을 결과적으로 통일시키기 위해서 만 연령제 도입을 결정한 것 같습니다.

사회적으로도 행적적 혼란과 분쟁을 해소하기 위한 이유에서입니다.

선진국인 미국에서도 태어난 해는 0세를 시작으로 하지만 국내에서는 중국의 영향을 받았는지 아이가 뱃속에 있을 때도 인정해줘야 한다는 것이 지금까지 이어져 온 것이라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지금은 바뀌기 때문에 여러분 혼동 없이 생일 전후를 기준으로 계산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https://www.youtube.com/shorts/BMgOjSGU4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