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macOS 관련 사용법을 소개하는 IT/테크 인플루언서PLEO입니다.
맥북을 사용하다 보면 의외로 자주 발생하는 버그, 렉, 무한 로딩 문제가 발생해 화면 클릭과 트랙패드 터치가 안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럴 때는 프로그램이나 전원 재부팅이 가장 빠른 해결책이기 때문에 미리 알아두면 좋습니다.
오늘은 상황에 맞게 단축키 또는 클릭을 통한 맥북 강제 종료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맥북 강제 종료 작업 관리자 실행 프로그램 앱 사용법을 알아가자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싶을 때
먼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프로그램 관련 맥북을 강제 종료하는 방법입니다.
창과 다른 앱 종료 방식으로 창에 있는 빨간색 아이콘을 눌러도 완전히 종료되지 않습니다.
command+Q바로가기 키를 눌러 간편하게 앱을 끄실 수 있습니다.
이어서 같다고 할 수 있지만 다른 숏컷 조합의 선택한 Windows MacBook 강제 종료입니다.
위 이미지에 표시되는 키를 동시에 누르면 선택된 창이 강제로 닫힙니다.
때에 따라 다르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양쪽 단축키를 알아 두는 것도 좋아요.
이어서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배치되어 있는 Dock(독)에서도 앱을 종료할 수 있습니다.
실행된 앱을 독에서 길게 마우스 왼쪽 클릭 또는 오른쪽 클릭하고 옵션(Option)을 누르면 강제 종료 문장이 나타납니다.
아까 봤던 방법은 따로 프로그램 목록을 확인하지 않고 해당 프로그램만 강제로 종료한 경우 macOS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확인한 후 선택하여 MacBook을 강제 종료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4개 경로로 종료될 경우 프로그램 실행 중 사용되던 데이터가 모두 유실된다는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자주 무한 로딩, 버그가 발생할 경우 매번 강제 종료하는 방식으로 대처하기보다는 사용 중인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맥북 작업 관리자 앱을 실행하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Windows에서는 작업 관리자이지만 MAC의 경우 활성 상태 표시 앱입니다.
런처 패드 또는 Spotlight 검색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맥북 태스크 관리자를 실행하면 CPU, GPU, 스레드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국 컴퓨터에서 받아들일 수 없는 작업 이상을 프로그램이 요구할 경우 끊기게 되므로 작업 관리자를 통해 어떤 앱이 원인인지 볼 수 있는 것입니다.
각각의 메뉴를 눌러 오름차순/하차순으로 정렬하여 보다 쉽게 체크할 수 있습니다.
물론 해당 앱을 가볍게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것이 앞으로 맥북 강제 종료를 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 중 하나겠죠? 맥, 맥북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단순히 앱에 해당하는 맥북 강제 종료를 통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다면 상관없지만 맥북 자체가 말을 듣지 않으면 전원을 종료해야 합니다.
이 경우 정상적으로 Apple 로고-시스템 종료를 눌러 정상적으로 전원을 끄는 것이 좋으나 그렇지 않을 경우 Mac 후면 또는 MacBook 전원 버튼을 10초 이상 눌러 강제로 전원을 종료할 수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맥북 강제 종료 후 자동 재부팅 방식을 선택하셔도 되는데요. 전원 버튼과 컨트롤, 그리고 command까지 동시에 눌러주세요. 강제적으로 프로그램, 전원을 종료한다고 하는 것은, 일시적으로는 효과가 있어도 계속 사용하는 경우, 시스템에 무리가 생길 가능성이 있습니다.
꼭 필요할 때만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맥북 강제 종료 후 자동 재부팅 방식을 선택하셔도 되는데요. 전원 버튼과 컨트롤, 그리고 command까지 동시에 눌러주세요. 강제적으로 프로그램, 전원을 종료한다고 하는 것은, 일시적으로는 효과가 있어도 계속 사용하는 경우, 시스템에 무리가 생길 가능성이 있습니다.
꼭 필요할 때만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맥북 강제 종료 후 자동 재부팅 방식을 선택하셔도 되는데요. 전원 버튼과 컨트롤, 그리고 command까지 동시에 눌러주세요. 강제적으로 프로그램, 전원을 종료한다고 하는 것은, 일시적으로는 효과가 있어도 계속 사용하는 경우, 시스템에 무리가 생길 가능성이 있습니다.
꼭 필요할 때만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