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공연 클래식 아르모트의 단상 타이틀은 스트라빈스키 라벨에 대한 평가.라벨이 음악 다루는 방식이 섬세하고 정밀해서 마치 스위스 시계 장인을 떠올리게 한다고.
최수열(부산시립교향악단 예술감독)은 굉장히 완고한 변태인 것 같다.
모든 건 내가 결정하는 st 같은데 늙은이 아닌 것 같아. 프로그램이 일반적이지 않다는 평가다.
호불호가 심하다.
나는 호에 가깝다.
부임을 17년에 했지만(와 그때 30대였다) 굳이 17년부터 2년간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교향시를 풀로, 또 20년부터 2년간 라벨 관현악곡 전곡 완주하고 있다.
잠깐만… 공무원들아~ 너희 세금 받을거지? 이런 거 아무도 안 했는데? 우리는 티켓 안팔아도 돈나오니까 이런거 의무라도 연주해야해… 이런 느낌.은은한 광기가 보인다고 할까 집요하다고 할까, 이게 끝에 대한 강박관념이 있는 사람일까.j임이 분명하다.
슈만 – 피아노 협주곡 연주. 슈만은 진짜 잘 모르고 잘 안들으니까 와 잘한다 화려함 말고는 묘사할 방법이 없네.공룡상+94년생+슈트 조합이 너무 인상적이었어.슈만 – 피아노 협주곡 연주. 슈만은 진짜 잘 모르고 잘 안들으니까 와 잘한다 화려함 말고는 묘사할 방법이 없네.공룡상+94년생+슈트 조합이 너무 인상적이었어.오늘의 감동 핵심은 볼레로, 라벨 관현악 완주 마지막 곡으로 가장 대중적인 곡을 선택한 것 같다.
곡의 구조는 누구나 알고 있는 그 선율(도도시도레도시도~)이 악기만 바꾸고 15분간 반복된다.
드럼은 처음부터 똑같이 계속 같은 리듬을 연주한다.
거의 수학 능력 고사 금지곡의 차원에서 반복한다.
클래식계의 링 딘동이란? 같은 선율이 끊임없이 반복되면서 규모와 다이내믹이 점차 확대하고, 팜파스 빵 하면서 끝난다.
곡 전체가 하나의 크레센도다.
요즘 말로 끝을 위한 빌드 업이 질리고 있습니다.
어쨌든 이걸 들면서 계속 인생은 이 음악처럼 살아야 한다.
라는 생각이 들었다.
끊임없이 반복 스네어 드럼의 규칙적인 리듬, 그 리듬은 깨지기도 흐트러짐 없이 반복된다.
주선율은 pp에서 매우 미약하게 시작하지만 다양한 악기가 자신만의 목소리를 내더니 결국 만나서 마지막은 포루티시모에서 장엄하게 될 마무리가 이것이 바람직한 삶의 형태라고 생각했다.
그렇네. 이 음악처럼 살아간다면 정말 멋지구나. 피아니시모로 시작하더라도 포루티시모에서 완성되면. 뭐든지 끝이 소중하니까급히 생각하지 말자. 서두르면 볼레로를 되짚어 보자.여담. 라벨은 북미 연주 여행을 떠나기 직전, 휴양지에서 문득 이 곡의 주요 선율을 떠올렸다고 했다.
역시 사람이 조금 쉬어야 창작도 있구나.고갱에서 마티스도 타히티에서 좀 쉬고 좋은 그림을 그렸잖아요… 그렇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