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친 교사들의 심신을 치유하는 2023년 교원치유지원 프로그램 운영…”교육활동 전념할 수 있도록 지원”
전라북도교육청(교육감 서거석)이 교원 치유를 위한 맞춤형 집단프로그램 8개 과정을 운영한다.
전북교육청은 교육활동 침해·피해 경험을 치유하고 예방하기 위해 ‘2023년 교원치유지원 집단프로그램’을 추진한다고 17일 밝혔다.
집단 프로그램은 ‘교원 맞춤형 치유 프로그램’과 ‘학교 단위 교원 치유 프로그램’ 두 가지로 운영된다.
올해 교원 맞춤형 치유 프로그램은 79곳, 학교 단위 프로그램은 50개가 접수, 도 교육청은 선정 회담을 통한 맞춤형 집단 치유 프로그램 48곳, 학교 단위 프로그램 23곳을 지원한다.
우선 교수 맞춤형 치유 프로그램은 △ 미술 심리 치유 △ 음악 치유 △ 영화 치료 △ 원예 치유 △ 스트레스 관리 △ 관련성 증진 집단 상담 △ 정신 분석 집단 상담 △ 모래 장난 치유 등 8개의 과정이 있다.
그룹당 10명 이내의 소그룹 단위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프로그램인당 3~5회기를 지원한다.
프로그램 진행 장소는 미술 심리 치료·원예 치료는 학교에서 영화 치료·관련성 증진, 정신 분석·모래성 치료는 상담 기관에서 음악 치료·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은 학교 또는 상담 기관 중에서 선택 가능하다.
학교 단위 교원 치유 프로그램은 학교 주도로 계획을 수립한 뒤 치유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으로 △ 1순위 교육 활동 침해 사안이 많은 학교 △ 2순위 보호자 민원, 학생 위기 사안 등에서 어려움이 많은 학교 △ 3순위 학교 구성원 간 갈등에서 치유와 교직원 간 동료성 회복이 필요한 학교를 대상으로 선정했다.
학교 단위 교원 치유 프로그램으로 선정된 단위 학교는 28일까지 운영 계획서를 제출하고 5월일부터 11월 30일까지 학교 자율적으로 치유 프로그램을 운영하면 좋다.
학교당 250만원 안팎에서 지원금을 교부한다.
서울·고속 교육감은 “교육을 담당하는 제1주체는 교사”이라며”교원 치유 프로그램을 통해서 교사들의 지친 몸과 마음을 치유하고 자존심이 회복하고 안심하고 교육 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이라고 말했다.
한편 전라북도교육청은 2017년 미술심리치유프로그램 1과정으로 시작한 교원치유프로그램을 2021년부터는 8과정으로 확대했다.
지금까지 353개교, 3481명의 교원이 집단 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해 학교 단위 교원 치유 프로그램을 통해 93개교 3520명을 지원했다.
한편 전라북도교육청은 2017년 미술심리치유프로그램 1과정으로 시작한 교원치유프로그램을 2021년부터는 8과정으로 확대했다.
지금까지 353개교, 3481명의 교원이 집단 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해 학교 단위 교원 치유 프로그램을 통해 93개교 3520명을 지원했다.
한편 전라북도교육청은 2017년 미술심리치유프로그램 1과정으로 시작한 교원치유프로그램을 2021년부터는 8과정으로 확대했다.
지금까지 353개교, 3481명의 교원이 집단 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해 학교 단위 교원 치유 프로그램을 통해 93개교 3520명을 지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