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드헌팅 Q&A :: 잡호핑족, 이직을 자주 하면 불리한가요?

안녕하세요 현재 7년차 경력의 마케터입니다.

처음부터 작은 기업에서 일을 시작했기 때문에 초임이 낮고 이직을 하면서 연봉을 점프업해 왔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7년차 경력에서 4번의 이직 경험이 있습니다.

최근 다시 이직 준비를 하면서 한 헤드헌터에게 “이직이 너무 많다”는 피드백을 받았습니다.

4가지 이직 사유가 각각 달라도 이직이 많으면 불리합니까? 저도 나빠보일까봐 연봉을 올리기 위해 이직했다고 이유를 댄 적은 없어요… 타당하게 들리는 이직 사유라도 이직 횟수만으로도 불리한 상황에 놓일지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현재 7년차 경력의 마케터입니다.

처음부터 작은 기업에서 일을 시작했기 때문에 초임이 낮고 이직을 하면서 연봉을 점프업해 왔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7년차 경력에서 4번의 이직 경험이 있습니다.

최근 다시 이직 준비를 하면서 한 헤드헌터에게 “이직이 너무 많다”는 피드백을 받았습니다.

4가지 이직 사유가 각각 달라도 이직이 많으면 불리합니까? 저도 나빠보일까봐 연봉을 올리기 위해 이직했다고 이유를 댄 적은 없어요… 타당하게 들리는 이직 사유라도 이직 횟수만으로도 불리한 상황에 놓일지 궁금하네요!

7년차에 4번의 이직이라면 한 직장에서 평균 2년도 안 되는 시간을 보냈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헤드헌터도 그렇게 피드백을 해줬을 수 있습니다.

헤드헌터는 후보자에게 이직을 추천하고 채용이 성공하면 수수료로 이득을 보는 직업이기도 하지만 후보자의 경력에 대해 고민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아마 그런 이야기를 했을 것 같습니다.

이직이 잦은 것이 긍정적으로 작용하지는 않는 게 현실입니다.

특히 외국계나 스타트업, IT기업은 스카우트 제안으로 이동도 많이 하는 만큼 이직에 관대한 편이지만 그 외 대부분의 기업들은 이직이 많은 것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두 가지 관점에서 하나는 일관성, 다른 하나는 로열티입니다.

우선 일관성이 없다고 느끼는 부분에 대해서 말씀 드릴게요. 인턴 경험과 계약직, 시간제 업무를 직접적인 직무 경력으로 알아주지 않는 거 아시죠. 물론 그런 경험이 업무를 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도 사실이지만 아직 이런 경험을 “실무를 본격적으로 담당한 “로 인식하지 않는 것도 있습니다.

우선 이들은 기간이 짧습니다.

기간이 짧아 오랫동안 숙련된 업무 진행이 어렵습니다.

정해진 기간만 머물 사람들에게 장기 프로젝트나 중요한 프로젝트를 맡기는 것은 어렵습니다.

자연스럽게 그들은 시간에 얽매이지 않는 간단한 업무가 주어지는 것이 있습니다.

물론 모든 것이 이런 것은 아닙니다.

프로젝트로 진행되는 업무도 있고, 계약직이지만 Main job을 담당할 수도 있습니다.

일관된 업무 경험을 갖는 것은 경력 전직에서 중요한 요소입니다.

단기적인 경험의 덧셈이 장기적인 경험의 1개로 대체하지 못한 이유입니다.

그래서 한 직장에서 오랫동안 하나의 업무를 담당하고 보는 것도 강점이 될 것입니다.

둘째, 로열티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아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한 기업에서 1~2년 정도만 근무하고 이직을 원하는 지원자는 우리 기업에도 충성하지 않는다는 인상이 듭니다.

본인의 처우 개선을 위해 이직을 반복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또 한국 기업에서도 1~2년 정도 단기적으로 머물다가 다른 회사로 떠난다고 판단할 수도 있습니다.

일부 기업은 한 기업에서 3년 이상 근속한 경험자를 조건으로 내걸기도 합니다.

또한 시니어 클래스로 갈수록 기업에 충성도를 보여야 하기 때문에 근속 경험이 좋은 평가 요소가 되기도 합니다.

이 근속 기간은 숫자로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어떤 사람에게는 2년, 어떤 사람에게는 5년 정도가 근속 경험에서 유리한 숫자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헤드헌터마다, 그리고 기업의 인사 담당자마다 생각하는 기간이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적어도 2~3년 이상 근속 경험은 하나 정도는 갖고 있는 게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까도 말씀 드렸듯이 스타트 업이나 외국계, IT기업에서는 전직이 많습니다.

특정할 수는 없지만 많은 기업이 그렇습니다.

실력이 있으면 스카우트 제의를 많이 받거나 한곳에 오래 머물기를 더 경계하는 곳도 있습니다.

질문자 분이 속한 산업 군이나 기업에 의해서 다른지도 모르겠네요.만약 질문자 분이 상기의 산업 군에 속하지 않으면 앞으로 취업할 곳에서는 적어도 2년 이상 체류할 것을 추천합니다.

모든 것에 만족할 수 있는 회사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좋은 점도 나쁜 점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4번의 이직으로 몸값을 충분히 인정 받았다고 생각합니다만. 향후의 회사에서는 로열티를 나타내는 다양한 활동에 참가하세요. 벌써 1개의 장소에 머무르는 것이 정체되고 있다고 느낀다면 새 교육 프로그램에 뛰어들어 보세요. 롤을 넓히고 다양한 프로젝트를 자원하고 보세요. 한 기업이라도 다양한 시도가 있습니다.

질문자에게 부족한 것이 잦은 이직 경험만 하면 이런 방법으로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이직 이유도 열심히 준비해야 할 것입니다.

헤드헌터 입장에서는 질문자가 말한 이직 이유가 부족해 보였을지도 모릅니다.

4번의 이직이라면 처음에는 연봉 때문에 이직하셨다고 솔직하게 말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뒤따른 이직은 업무 확장 등 돈보다는 다른 무언가를 위한 이동이었다고 말씀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후보자 이력서를 보면 약점이 없는 사람은 없어요. 질문자에게 근속기간이나 이직횟수가 단점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스스로 준비해 놓고 보완해 두길 바랍니다.

또한 이직 이유도 열심히 준비해야 할 것입니다.

헤드헌터 입장에서는 질문자가 말한 이직 이유가 부족해 보였을지도 모릅니다.

4번의 이직이라면 처음에는 연봉 때문에 이직하셨다고 솔직하게 말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뒤따른 이직은 업무 확장 등 돈보다는 다른 무언가를 위한 이동이었다고 말씀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후보자 이력서를 보면 약점이 없는 사람은 없어요. 질문자에게 근속기간이나 이직횟수가 단점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스스로 준비해 놓고 보완해 두길 바랍니다.

구인기업에는 최적의 인재를, 구직자에게는 최고의 기업을 추천합니다.

헤드헌팅 20년 전통의 대형 서치펌 스카우트

구인기업에는 최적의 인재를, 구직자에게는 최고의 기업을 추천합니다.

헤드헌팅 20년 전통의 대형 서치펌 스카우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