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일렉트릭의 주가는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LS ELECTRIC의 주가는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발효와 실적 개선 기대감, 전기차 충전기와 전기차 릴레이 중심의 전기차 관련 사업 실적 등으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첫째, 미국 인플레이션법(IRA)으로 인해 국내 대기업들이 미국에 공장을 세웠고, 배전/송전/탑승(배터리, 전기자동차 , 반도체)가 기대된다.
실제로 LS일렉트릭은 지난해 매출 3조3700억원, 영업이익 1875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26.5%, 20.8% 성장했다.
참고로 실적이 가장 좋았던 부문은 전력설비와 전력인프라였다.
지난해 북미 매출은 70.7% 증가했다.
2021년에는 전체 매출에서 북미가 차지하는 비중이 12.7%에서 18.4%로 높아진다는 점에서 알 수 있다.
미국에서의 매출이 LS일렉트릭 실적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여기에 충전기와 전기차용 DC릴레이(EV릴레이)를 중심으로 한 전기차 부품 판매가 본격화한 점도 주가 상승에 일조했다.
참고로 릴레이는 장비를 제어하고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데 사용되는 스위칭 장치를 말합니다.
특히 북미 전기차 고객을 중심으로 전기차 릴레이 주문이 늘고 있으며 올해 멕시코에 신규 공장을 가동할 예정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런 LS일렉트릭도 손가락이 아프다.
신재생에너지 분야입니다.
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은 신재생에너지를 강조하며 약 14년 동안 사업을 이끌어왔지만 영업이익 적자를 낸 적이 없다.
실제로 한국신용평가는 14일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부진한 실적이 LS일렉트릭 실적에 부담이 되고 있다”며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실적이 부진한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에너지 산업 안정화 .”
참고로 LS일렉트릭의 신에너지·재생에너지 사업은 현재 태양광발전과 에너지저장장치(ESS) 위주로 진행되고 있는데, 실적 측면에서 보면 지난해 별도로 계산한 신에너지·재생에너지 부문 영업이익은 45.5적자였다.
. 전년 대비 225% 증가한 10억 원.
또 이번에 정부는 원전 확대에 협조하기 위해 2023년 신에너지·재생에너지 재정지원사업 예산을 올해 예산보다 37% 이상 삭감했다.
따라서 LS일렉트릭의 신재생에너지 사업은 실적 저하 요인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투자자들은 새로운 수입원이 되어야 할 신에너지·재생에너지 부문이 기업가치 하락과 실적 하락의 주범이 될 수 있는 ‘무한독’에 시달리고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 주식이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