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삼성중공업 피엔티 : 주가 및 배당금 전망 :: 4.4. 종가 기준

오늘은 승동 씨와 함께 SK하이닉스, 삼성중공업, P&T의 주가 및 배당금 전망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먼저 SK하이닉스의 주가와 배당금 전망부터 살펴보겠습니다.

SK하이닉스

□ SK하이닉스 사업 개요 SK하이닉스와 SK하이닉스의 종속 기업의 주력 제품은 DRAM및 NAND를 중심으로 하는 메모리 반도체이며, 일부 Fab(S1, M10일부)을 활용하고 시스템 반도체인 CIS(CMOS Image Sensor)생산과 파운드리(Foundry)사업도 병행하고 있다.

반도체는 메모리 반도체와 시스템 반도체로 구분되며 메모리 반도체는 정보를 저장하고 기억하는 기능을 하고 일반적으로 『 휘발성 』과 『 휘발성 』에 분류된다.

휘발성 메모리 제품은 전원이 끊어지면 정보가 사라져반면 비휘발성 제품은 전원이 지나도 저장된 정보가 남아 있다.

SK하이닉스는 휘발성 메모리의 DRAM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NAND Flash를 주력 생산하고 있다.

□ SK하이닉스 투자 정보 코스피 3위, 시가 총액 61조 5162억원의 기업 상장 주식 수 728,002,365액면가 5,000원 52주 최고 118,000/최저 73,100원 □ SK하이닉스 2023년 배당 SK하이닉스 2023년 배당금(예상):1,295원 배당 수익률(예상):1.48%*하반기 실적에 따른 배당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 SK하이닉스의 실적과 차트에서 보면 주가 전망

구분 연간실적 2022년 2023년 매출액(억원) 446,216 236,833 영업이익(억원) 68,094 – 104,077

SK하이닉스 2023년 실적은 매출액 104,077억원, 영업이익 -236,833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영업이익 적자 전환이 예상되지만 하반기에 갈수록 실적이 좋아질 전망이어서 D램 가격 등을 확인하고 지속적인 관심은 필요하다.

주급 차트

SK하이닉스 수급을 살펴보면 기관은 매수하는 추세지만 외국인 매도세가 강하게 나오면 주가는 조정을 받고 있습니다.

기관의 대량 매도가 나오지 않는 이상 주봉 전 저점은 깰 확률이 높지 않고 오히려 반등이 나올 확률이 높습니다.

기관 인수가 잇따르면서 주봉 전 저점 부근까지 조정받으면 (분할) 매수 가능. 또 기관이 소폭 매도해 외국인 매수가 들어와도 (분할) 매수 가능.다만 기관 대량 매도 또는 기관, 외국인 동시 매도가 강하게 나온다면 당분간 접근금지다.

해외경제동향, 뉴스(전단지 등), 증권사 리포트 등 주가 상승 및 하락에 미치는 변수가 다양하오니 『SK하이닉스』 투자 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음으로 『삼성중공업』의 주가 및 배당금 전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삼성중공업

□ ▲삼성중공업 사업소개=삼성중공업은 선박, 선박 및 해양플랫폼을 건조, 판매하는 조선해양부문과 건축 및 토목공사 등을 수행하는 토건부문을 영위하고 있다.

조선해양 부문은 주로 해외 선주를 대상으로 제품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토건 부문은 국내 건축업자로부터 매출이 발생하고 있다.

□ 삼성중공업투자정보 코스피 70위, 시가총액 4조7344억원 기업 상장주식수 880,000 액면가 6,450원 52주 최고 4,790원/최저 1,000원□삼성중공업 2023년 배당금(예상) : 없음□삼성중공업 실적 및 차트로 보는 주가 전망

구분 연간실적 2022년 2023년 매출액(억원) 59,44780,551 영업이익(억원) -8,544 1,570

삼성중공업 2023년 실적은 매출액 80,551억원, 영업이익 1570원으로 예상돼 영업이익 흑자 전환이 예상되기 때문에 큰 관심이 필요하다.

일봉 차트

삼성중공업 수급을 살펴보면 기관, 외국인 모두 매수하는 추세입니다.

한 봉 차트에서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한 봉 전 고점(5,570원~5,870원) 부근까지 상승 후 조정이 나올 확률이 높습니다.

현재 가격대에서 매입할 때는 ATH로 일단 매각한 후 환매해야 하며 조정 시 매수하는 경우 기관 또는 외국인(양) 매수가 연속적으로 나오는지 확인 후 매수하면 된다.

단, 기관 또는 외국인 대량(양) 매도가 나올 경우 매수에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해외경제동향, 뉴스(전단지 등), 증권사 리포트 등 주가 상승 및 하락에 미치는 변수가 다양하오니 『삼성중공업』 투자 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음으로 PNT의 주가와 배당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PNT

□ PNT사업 소개 PNT는 Roll to Roll기술을 바탕으로 IT용 소재, 이차 전지의 음극 및 분리 막 소재, Copper등의 코팅 및 슬리퍼 장비 제작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소재용 필름 및 전자 전기와 소형 및 ESS용 중 대형 이차 전지의 분리 막/음극/양극 소재, 그리고 회로 소재 및 이차 전지용 극복 등 생산하는 장비 등을 개발 및 생산했으며 국내 Copper생산업자 중 LS엠토롱에 독점 공급 중이다.

□ 피 엔 티 투자 정보 코스닥 43위, 시가 총액 1조 1780억원의 기업 상장 주식 수 22,741,198액면가 500원 52주 최고 62,800원/최저 36,550원 □ 피 엔 티 2023년 배당금(예상):150원 배당 수익률(예상):0.29%□ 피 엔 티 실적 및 차트에서 보면 주가 전망

구분 연간실적 2022년 2023년 매출액 (억원) 4,1786,883 영업이익 (억원) 7781,141

PNT 2023년 실적은 매출액 6,883억원, 영업이익 1,141억원을 기록할 전망이다.

직전 연도보다 매출과 영업이익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큰 관심이 필요하다.

주급 차트PNT 수급을 살펴보면 기관은 매수하고 있는 추세이고, 외국인은 매수·매도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주봉밴드 상단을 뚫고 안착하고 기관이 계속 인수하면 밴드 상단 부근에서 (분할) 인수 가능하다.

주봉배드 상단을 돌파하지 못하면 수급(기관 또는 외국인 연속 매수) 확인 후 주봉 5일선에서 (분할) 매수 가능하다.

단, 기관 또는 외국인 대량(양) 매도가 나왔을 경우, 당분간 매수 금지.해외경제동향, 뉴스(전단지 등), 증권사 리포트 등 주가 상승 및 하락에 미치는 변수가 다양하오니 『P&T』 투자 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상 SK하이닉스, 삼성중공업, P&T 분석을 마치겠습니다.

이 글은 투자를 권유하는 글이 아니며 매매에 대한 선택과 책임은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